목록2024/04 (29)
원하는대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B1bC/btsGzfhFjOG/sRIFgHafoESmtxZD3RFk9k/img.png)
닥스훈트의 유래 닥스훈트의 기원은 이집트와 로마 예술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긴 몸체의 사냥개 묘사와 함께 고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품종은 15세기경 독일에서 주로 사냥을 위해 길러졌던 몸통이 길고 사지가 짧은 독일이 원산지인 견종으로 이름에 독일어의 Dach 와 Hund 즉 '오소리개' 라는 의미가 있다. 길고 가늘게 생긴 소세지같은 몸매와 체격때문에 '핫도그'로 불리기도 했다. 스탠다드 닥스훈트는 굴에 숨은 오소리나 여우를 끌어내고, 미니어처 닥스훈트는 주로 토끼를 추적하는 것에 활약했던 특징이 외형적으로도 나타난다. 미국에서는 프레리독이나 사슴 추적에 이용되기도 했다. 닥스훈트는 블러드 하운드와 비바훈드와 같은 대형 사냥개의 돌연변이 난쟁이에서 생겨난 것이 아닌가 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8kpgN/btsGvtAQKff/WTo82qyL2JfHuHKDe85nxK/img.png)
슈나우저 유래 1492년대에 그려진 그림과 15세기 알브레히트 뒤러의 조형물을 통해 확인 된 견종 , 슈나우저의 원산지는 독일이며, 독일어로 '수염'을 뜻하는 '슈나우즈(Schnauze)'에서 품종명이 유래되었다. 슈나우저 종류는 스탠다드, 자이언트, 미니어처 3가지로 구분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니어처 슈나우저는 농장에서 야생동물로부터 보호하는 경비견으로 일하는 다목적견인 스탠다드 슈나우저 (Standard Schnauzer)를 농장의 작은 쥐와 같은 짐승을 잡는 테리어와 같은 크기의 개로 만들기 위해 아펜핀셔(Affenpinscher), 미니어처 푸들(Miniature Poodle), 미니어쳐 핀셔 (Miniature Pinscher) 등의 크기가 작은 품종들과 교배시켜 19세기 말에 탄생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8ihd/btsGuoThq1C/yDWlRAaE9iHqFDIKkxNyNk/img.png)
치와와의 유래 치와와는 멕시코에서 살던 견종으로 , 미국으로 전해진 뒤 멕시코 치와와 주의 이름을 따왔다. 다른 견종들과 마찬가지로 치와와 역시 역사가 불분명 하다.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유럽인들이 중남미로 탐험할 때 전해졌다는 설, 아즈텍 제국 시절부터 아즈텍인들이 기르던 '테치치' 가 교배를 거쳐 지금의 치와와가 됐다는 설 등이 있으며 아즈텍 유적지에서 발견된 테치치 그림이 지금의 치와와와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후자에 더 손을 들어준다. 20세기까지 치와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19세기 말 제임스 왓슨(James Watson)이란 미국인이 멕시코 치와와 주에서 치와와들을 지역 상인으로 부터 구입해 미국으로 가져와 소개하였다. 이후 유명 오페라 가수 아델리나 파티 (Adeli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hswa/btsGssnwHyV/O7S7e1VemCpPSBC6mSSkU0/img.png)
진돗개의 유래 진돗개는 대한민국의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진도라는 섬에서 수천 년 전부터 살아왔다고 한다. 확실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고대부터 존재한 진돗개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다. 석기시대의 사람들이 기르던 개의 후예 중에서 나온 동남아시아계의 중간형에 속하는 품종이라는 기원에 대해서도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 삼국시대 남송 (南宋) 의 무역선에서 유입되었다는 설과,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을 때 몽골에서 제주도 목장의 군용 말을 지키기 위해 들여왔다는 설 등 여러 구전이 내려온다. 교통이 불편해서 교류가 힘든 대륙과 격리된 채 관리되다보니 비교적 순수한 형질을 그대로 보존하여 오늘날의 진돗개가 되었다. 2008년에 미국켄넬클럽(AKC)에서 공식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우리나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4B07/btsGo9n3Z7t/N5yh5wWuk8C5oC9V0pYkc1/img.png)
시바이누의 유래 기원전 300년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원산지가 일본인 고대 품종으로 산간 지방에서 작은 야생동물 새나 토끼 등을 사냥하기 위해 개량한 품종이다. 울창한 덤불 사이에서도 뛰어난 시각과 후각으로 사냥을 했고 감각이 예민하고 기민하다. '시바(柴)' 라는 이름의 유래는 유래가 확실하지는 않으나 첫번째는 작은 것을 나타내는 고어(시바), 두번째는 잡목 숲을 교묘히 빠져나가는 사냥을 도왔다는 설, 마지막으로 적갈색의 털빛이 시든 잡목과 비슷해서 그렇다는 설이 있다. 1937년에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반려견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시바견은 거의 멸종하고 남아있지 않았으나, 나가노 지방의 신슈 시바 (Shinsu Shiba), 옛 미노국의 미노 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4XUK/btsGkDpVH6m/py8QGUKgKSefoK4m65We5K/img.png)
퍼그의 유래 퍼그는 가장 오래된 품종 중 하나로 기원전 400년 전부터 사랑받아 온 역사가 긴 품종이다. 티베트 승려가 반려견으로 키웠다는 설이 유력해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고대 중국 황제가 평평한 얼굴을 선호하여 페키니즈, 시추와 같은 반려견에서 품종 개량되었다. 1,500년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무역을 통해 유럽으로 유입되어 세계에 알려졌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전장에서 네덜란드 왕자에게 스페인 군대의 공격을 알려 왕자의 생명을 구한 것으로 인해 네덜란드 오렌지 왕가의 마스코트가 되었다고 한다. 개구진 외모와 성격 덕분에 오랜 기간동안 다양하게 사랑받아 왔으며 , 그 결과 중국에서는 로쉬 (Lo-sze), 네덜란드에서는 모숀즈 (Mopshonds) , 핀란드에서는 몹시 (Mops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En2I/btsGiPYfwxo/rmzDyotULkTBV5JYrhvwQ0/img.png)
골든리트리버의 유래 대형견 골든 리트리버의 원산지는 영국의 스코틀랜드이다. 유래는 사냥을 즐기던 19세기 스코틀랜드 귀족인 트위드마우스 경 (Lord Tweedmouth)이 사냥견이던 세터나 스패니얼보다 자신의 사냥을 더 잘 도울 수 있는 견종, 레드 세터 종과 워터 스패니얼종을 교배하여 황색털로 태어난 강아지들을 지속적으로 브리 하다가 탄생한 견종이다. 리트리버(Retrieve)의 어원은 '찾아서 물어오다' 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그 의미대로 오리 등 물가에서 새들을 찾아 가져오는 역할을 주로 했기 때문에 세계애견연맹 (Federation Cynologique intetnationale , FCI) 에서는 골든리트리버를 조렵견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미국에 알려지면서 골든리트리버는 반려견으로 많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cWbTL/btsGhRnWCGs/Vp3AG5bWRKkRSk0DXnjsZ0/img.png)
비숑 프리제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전해졌다. 생김새가 아주 작은 바빗 (Barbe : 물가에서 사냥을 돕는 사냥개들의 총칭)의 후손이었던 비숑 테네리페 (Bichon Tenerife) 에서 유래하여 프랑스에서 지금의 모습과 성격으로 개량이 이루어 졌다. 어원은 프랑스어 '곱슬거리는 털장식' 이라는 비숑 아 포일 프리제 ( Bichon à poil frisé ) 에서 유래한 것이다. 13세기 부터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의 왕실과 귀족들에게 사랑을 많이 받았다. 14세기 스페인 선원들이 주로 배에서 키우던 견종으로 함께 무역로로 이동하면서 낯선 사람에게도 잘 다가가고 사교적인 성격 탓에 물물교환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 여러 유명한 화가들이 왕과 귀족을 비롯한 저명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2Yyv/btsGeQCI1Br/wSMN7p5xfFusQAVDm3mYnK/img.png)
시추의 유래 시추는 중국에서 유래된 개 품종으로 중국에서는 '사자개 (스쯔거우)' 라고 불리우다 웨이드식 로마자 표기법인 shih-tzu kou에서 '시추' 라는 이름으로 전해졌다. 중국 티베트 지역이 원산지로 기원은 티베트에서 전해져온 라사 압소와 페키니즈만의 교배로 탄생했다는 설이 있다. 둥근 얼굴에 납작한 코, 큰 눈, 길고 부드러운 털이 특징인 견종으로 7세기 무렵 황실에서 길러졌으며 서구에는 1930년경 알려졌다고 한다. 중국의 황족들은 시추를 남에게 팔아넘기는 일이 절대 없었다고 하는데 그 만큼 귀한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다. 특히, 청나라 말기의 절대 권력자였던 서태후는 시추를 각별히 사랑하고 '종' 관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중국에서 탄생한 견종이지만 중국 공산주의 혁명 당시 반려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