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6 (28)
원하는대로
※ 송편버섯 :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 국내 자생하는 송편버섯이 근육세포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근감소증이 우려되는 중노년이나 근손실에 민감한 헬스인들에게 희소식이다. 북한명은 흰색향조개버섯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죽은 활엽수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버섯갓은 가운데가 봉긋한 반원 모양이고 기와처럼 배열되어 있다. • 형태송편버섯은 생김새가 송편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으로 버섯대가 없고 다 자라면 지름 15㎝·두께 4㎝ 정도가 된다. 미세한 연모가 덮여 있거나 거의 털이 없다. 테무늬는 없다. 흰색, 황토색, 황갈색 등을 띄며 표면이 벨벳처럼 부드러운 게 특징이다. • 생태연중 / 추운 지방의 버드나무 죽은 줄기나 쓰러진 나무에 난다. 백색부후균..
생선은 통째로! 멸치처럼 살은 물론 대가리와 내장까지 통째로 먹는 작은 생선을 자주 섭취하면 암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건강에 더 이롭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일본 나고야대학교 의학대학원의 카사하라 치나츠 박사의 말씀에 의하면"생선을 많이 섭취하면 건강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뼈까지 통째로 먹는 작은 생선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 연구주제- 뼈까지 통째로 먹는 작은 생선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연구목적 - 일본인 식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작은 생선과 건강의 상관관계 연구 ◎ 연구대상- 35~69세 사이 일본인 8만802명(여성 57%) : 작은 생선 섭취 빈도에 ..
요즘 산행을 하면서 새로운 취미가 생겼다.정상을 향해 앞만 보고 걷다가 어느 순간 사방을 유심히 관찰하는 버릇산속 숨은 곳곳의 다양한 모습들이 나에겐 커다란 의미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https://youtu.be/wXkNNWgen1A너의 의미 - 아이유 너의 그 한 마디 말도 그 웃음도나에겐 커다란 의미너의 그 작은 눈빛도쓸쓸한 그 뒷모습도 나에겐 힘겨운 약속너의 모든 것은 내게로 와풀리지 않는 수수께끼가 되네슬픔은 간이역의 코스모스로 피고스쳐 불어온 넌 향긋한 바람나 이제 뭉게구름 위에 성을 짓고널 향해 창을 내리 바람 드는 창을너의 그 한 마디 말도 그 웃음도나에겐 커다란 의미너의 그 작은 눈빛도쓸쓸한 그 뒷모습도 나에겐 힘겨운 약속너의 모든 것은 내게로 와풀리지 않는 수수께끼가 되네슬픔은 간이..
올 여름 얼마나 더울까요??등산을 하며 땀을 많이 흘리다보니 벌써 등과 배에 붉은색의 발진이 생겨버렸네요.여름만 되면 한번 씩 찾아왔던 땀띠에 관한 정보를 찾아볼까 합니다. [ 정의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작은 발진과 물집이 발생하는 질환.폐쇄된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 땀띠(miliaria crystallina), 적색 땀띠(miliaria rubra), 깊은 땀띠(miliaria profunda)로 구분※ 아기들은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고 표면적당 발한량이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땀띠가 잘 생긴다.[ 원인 ]체온조절을 위해 발생하는 땀이 땀관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분비될 때 배출 통로인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히면 땀샘에 염증이 발생...
산 중턱 비석에 새겨진 시인 노천명의 '사슴' 학창시절 암기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낭독해 본다. 일제강점기 힘없던 우리민족의 고독가 애수를 사슴으로 형상화 , 그 시대 슬픔이 공감으로 와닿는다. 슬픈 눈과 연약함의 대명사 사슴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 사슴은 중대형의 초식동물로 꽃사슴, 고라니. 노루, 순록, 붉은사슴, 와피티 사슴 등 다양 종이 있다. 갈색 털과 수컷의 큰 뿔이 특징으로 새끼 때에는 점으로 위장을 할 수 있다. 고라니를 제외한 모든 사슴 종의 수컷은 큰 가지뿔이 자라지만, 새끼 때에는 없다가 성체가 되면서 돋아난다.그래서 대부분의 사슴들은 암수를 구분할 때 뿔이 있는지 없는지로 구분한다. 또한 사슴은 매년 뿔을 새로 교체, 주로 봄에 뿔을 교체하며, 3개월만에 최대 크기로 자..
「오우가 (五友歌) 」조선후기 시인 고산 윤선도의 연작 시조집 (山中新曲)에 수록된 6수의 시조. 제1수에서는 다섯 가지 자연물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을 벗으로 삼는 내용제2수부터 제6수까지는 이 다섯 자연물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내용. 물, 바위, 소나무, 대나무, 달을 다섯 벗으로 의인화하고 부단, 불변, 불굴, 불욕, 불언의 덕성을 예찬. 시인 본인에게 좌절을 안겨준 현실에 무상함을 느끼면서 변하지 않는 자연을 노래. 오늘도 겸손한 마음가짐으로 벗들 만나러 가는 중 !피톤치드 만끽하며 ^^ 하지만 늘 곁에서 나와 함께하는 나의 가장 소중한 벗 💖'쪼꼬'가 없었다면 혼자 산책은 엄두도 못낼 일인데 늘 함께 해줘서 너무 감사하다.
산유화(山有花) - 1924년 10월 영대 3호에 발표된 김소월의 작품 시로 1925년 간행된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 끊임없이 생멸하고 변화하며 움직이는 무상(無常)의 우주적 원리에 대한 동경을 보인다. - 수미상관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시어의 반복과 변주를 통해 시상을 전개- ‘-네’로 행을 종결하면서 운율을 형성. - 산유화(山有花)는 산에서 피고 지는 모든 꽃을 의미, 홀로 외롭게 피고 지는 비극적 존재로 형상화- 산은 존재의 생멸이 순환되는, 근원적 고독감을 발견하는 공간을 의미- 작가는 계절에 따라 꽃이 피고 지는 일상적 자연 현상에서 착안하여 존재의 근원적 고독이라는 주제를 다룸. - 시는 고독하게 태어나고 살다가 돌아간다는, 탄생과 소멸의 순환은 끊이지 않고 계속된다는 진리를..
미국 하버드대 의대 샤프캇 아마드 박사팀은 의학 전문지 AMA 네트워크 오픈에서 건강한 미국 여성 2만 5000여 명의 식단과 사망 위험 관계를 25년간 추적 ▼몸에 좋건강식으로 잘 알려진 "지중해식 식단을 잘 지키면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23%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지중해식 식단을 잘 준수할수록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23% 낮아지고, 여기에는 심장 대사에 작용하는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지중해식 식단은 몸속 염증을 조절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실제로 항염 식단이 조기 사망 위험을 18% 줄이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을 20% 줄였다는 스웨덴 카롤린스카대 연구 결과가 있다. 지중해 식단이 특별한 이유는 ..
희망퇴직 후 반려견과 함께 하루 일과가 되어버린 집 뒤 백양산 산책아름다운 새소리, 흐르는 계곡 물소리을 듣고 있노라면 세상 근심걱정 다 사라지고 잠시 신선으로 빙의 ㅎㅎ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다는 것이 참으로 감사하다 . 산 중턱쯤 약수터가 날 반기고 있어 갈증도 땀도 식히고 ... 약수물이 어찌나 달달한지 ㅎㅎ 산속 누구의 작품일까?? 돌탑위 석조 (石鳥)가 한마리 앉아있네요. 눈을 크게 뜨고 바라봅니다. 귀엽게 생긴 다람쥐가 도망을 가지 않고 한참을 머물러 있어요. 먹이라도 주는 줄 알았나보다. 돌탑앞에서 나의 사랑스러운💖 쪼꼬랑 한컷 !! 조용한 나무숲사이 사람 형상을 한 나무가 나를 보고 윙크하네 -약간 스산한 기운이 . . 토끼 간을 찾으러 왔을까!! 산속에 왠 거북이?? 푸르..
전세계적으로 과거에 비해 50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암이 급증하고 있다.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 비만, 그리고 장 건강 악화가 조기 발병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 영국 일간 더선이 소개하는 암을 의심해 볼 수 있는 7가지 장 이상증후 ]1. 손상된 피부, 머리카락 및 손톱피부가 칙칙하거나 트러블이 많이 일어나며 머리카락이 건조하고 손톱이 쉽게 부러지는 일이 잦아졌다면 장 건강의 비상 신호다. 장 건강이 나빠지면 영양소 흡수 장애로 인해 소장에서 영양소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칼슘, 철분, 비타민 D와 같은 중요한 영양소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으면 손톱이 잘 부러지고, 머리카락이 푸석해 질 수 있다. 2. 쉽게 골절되는 뼈장 건강이 좋지 않으면 손톱뿐만 아니라 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