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6 (28)
원하는대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Liip/btsHSEUChN1/YnRmZuYL9Bg7NuAkZ9JLj0/img.jpg)
모기[ mosquito ] : 파리목[雙翅目] 모기과 곤충의 총칭. 지구상에 약 3,50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9속 56종의 기록이 있다. [ 모기의 생태 ]모기는 완전변태 곤충으로 알·유충·번데기·성충의 생활환(生活環)을 거친다. 알은 일반적으로 물 위에 낳는다. 숲모기의 알은 기포(氣泡)를 지니고 있지 않으며 낱개로 흩어지며, 집모기는 알덩이를 물 위에 띄운다. 얼룩날개모기는 알의 등쪽에 부레가 있다. 물 위에서 알을 낳은지 약 3일 만에 부화되어 유충이 됨.▼이 유충은 약 7일간 4회의 탈피를 하여 번데기가 됨.▼번데기는 물 속에서 약 3일이 지나면 성충으로 변태▼모기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약 13∼20일 걸리고, 성충의 수명은 1∼2개월 [ 모기의 흡혈 ]흡혈은 암컷에 한정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Lxh7/btsHRGZJkoY/sREV1cApQG6uwxkoXbBWkk/img.png)
2023년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발표 자료 ▶ 2021년 8158명의 피부암 신규 환자 발생.남자 ( 3604명) 0.8 : 여자 (4554명) 1로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미국, 유럽에서나 흔한 암인 줄 알았지만 이제 우리도 간과할 수 없어 자외선이 강한 요즘 피부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원인1) 기저세포암 오랜 기간의 자외선 노출이 주요인, 특히 자외선 B와 연관이 있으며, 꾸준히 조금씩 노출하는 것보다 가끔씩 과다하게 노출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하얀 피부, 금발, 소아기의 주근깨, 피부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발생 위험이 높다. 남자에서 좀더 많이 발생하며, 고령자에게 주로 발생.2) 편평세포암주요 위험인자는 역시 자외선 노출로, 대부분 광선각화증이나 보웬병 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Gfv5W/btsHQdC55hf/gHUTkwmqwWyC88H3R285Z0/img.jpg)
통풍 : 관절 내 공간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8년 43만 953명▶ 2022년 50만 9699명으로 5년 새 약 18% 증가과거 : 40대 이상 남성, 50대 이상 여성에서 발병 증가 VS 최근 : 20~30대 환자 증가▼같은 기간 40대 이하 젊은 환자 27% 증가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물질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요산이 혈액, 체액, 관절액 내에서는 요산염의 형태 존재함)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이러한 현상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재발성 발작을 일으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g7xc/btsHKqJMSPY/TJ0hfgCv95eZecfRiqXLBk/img.png)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주로 탁주(濁酒)나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 백주(白酒)라고도 한다. 보통 쌀이나 밀에 누룩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만든다. 쌀 막걸리의 경우 쌀을 깨끗이 씻어 고두밥을 지어 식힌 후, 누룩과 물을 넣고 수일 간 발효시켜 체에 거르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발효할 때에 알코올 발효와 함께 유산균 발효가 이루어진다. 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는 4~18% 정도로 다양하다.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식힌 다음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켜 술 지게미를 걸러 만든다. 이때 술지게미를 거르지 않고 밥풀을 띄운 것을 동동주라고 한다. 동동주 걸리라는 이름은 ‘막+거르-+-이’의 합성으로,‘지금 막(금방) 거른 술’이라는 뜻과 ‘마구(박하게) 거른 술’이라는 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bLU8/btsHNU5kfeT/4G5Iaq9edv50FcA0cZScMK/img.png)
점점 더워지는 날씨 선물받아 두었던 녹차잎을 우려 시원한 냉녹차로 마셨더니 갈증해소에 도움이 되어커피대신 일일 음료로 갈아타면서 녹차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녹차 (Green Tea)차나무를 원료로 가공 방법과, 산화 상태에 따라 녹차, 백차, 청차, 황차, 홍차, 흑차로 분류그중 산화시키지 않은 찻잎을 사용하여 만든것이 '녹차'👀 제조 방법에 따른 차의 분류 : '발효차', '반발효차', '발효하지 않은 차 ▶ 녹차는 발효하지 않은 차● 한국의 녹차 : 공산품 몇몇을 제외하면 대부분 덖음차, ● 중국 : 덖음차와 증제차 ● 일본 : 대부분 증제차 : 차의 색을 중요시 [ 역사 ]원산지는 중국 쓰촨성과 티베트 경계의 산악지대 일대, 한국 기록상으로는 삼국시대 후반부터 중국에서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bnCn/btsHL4MCZdB/oaPr4k4dJjVEChDzLKJka1/img.png)
힐빙(Heal-being) = 힐링(Healing) + 웰빙(Wellbeing)편안한 쉼터에서 좋은 음식과 식으로 스트레스 및 피로에 지친 몸을회복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되찾아 간다는 의미 [ 힐빙클럽 ]자연치유 원리 기반으로 설계된 오행테라피, 오감테라피, 족욕, 온열찜질 등을 통해몸 안에 쌓인 피로와 독소를 비우고 신체 면역력과 균형을 회복시키는 치유의 공간 ≪ 미리내 힐빙클럽 ≫환한 햇살 아래 커다란 열대 식물들이 빼곡히 어우러진 힐빙클럽에 들어서면 숨 쉴 때마다 푸르름이 내 안으로 들어오는 듯 SNS를 통해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미리내 힐빙클럽은 눈과 몸, 마음까지 모두 맑게 만드는 진정한 힐링 공간이다. ‘힐빙클럽’은 힐링(Healing)과 웰빙(Well-being)을 함께 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DZgB/btsHBdqQC1C/HmLClHyAewMCpETTOdmdhk/img.png)
치약(齒藥) ✔ 치아를 깨끗이 하고 구강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화학 물질로 종류가 매우 다양함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3년 정도 ✔ 구성 성분에 따른 효과 : 충치 예방, 치주질환 예방, 치아미백, 구취제거 등 [ 치약의 유래 ]1. 치약은 칫솔 (기원전 3000년) 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인 기원전 5000년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 이집트인들은 황소의 발굽을 태운 재에 달걀 껍데기, 화산재 등을 몰약(수액)과 섞은 뒤 손으로 직접 이를 문질러 사용. 2. 18세기 후반 가루 형태로 된 치약이 등장- 벽돌 가루와 질그릇 가루와 같은 강력한 연마제 성분들로 인해 오히려 이를 상하게 함 3. 1850년대에 들어서 크림 형태의 치약 등장 4. 1892년 영국에서 현재 튜브에 젤 형태의 치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Q2Fvg/btsHJCjP4Db/ZVVhXQ5zEBCT5WJzFVyXn1/img.png)
상추는 ‘복을 싸 먹는다.’ 하여 예로부터 비타민과 무기질 등의 영양을 충족하기 위해 육류와 함께 먹는 쌈 채소로 활용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섬유질을 보충하고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상추의 유래 및 분류 ]- 기원전 4,500년경 고대 이집트 벽화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랜 기원을 가지고 있는 채소- 우리나라에는 6~7세기경 인도, 중국 등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오랜 역사만큼 품종이 다양 - 재배 품종에 따라 결구상추, 반결구상추, 잎상추, 배추상추 / 모양에 따라 치마상추, 축면상추 등으로 분류- 보통 상추는 6가지로 구분 : 결구상추, 버터헤드상추, 코스 또는 로메인, 잎 상추, 줄기 상추, 라틴 상추 등- 주로 육류와 곁들여 먹는 쌈 채소로 특히, 돼지고기와 섭취 시 ..